Kowal's Igloo

[백준/파이썬/Python]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본문

알고리즘

[백준/파이썬/Python]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코왈이 2023. 12. 17. 01:52

문제

네가 현재 가지고 있는 포켓몬 도감에서 포켓몬의 이름을 보면 포켓몬의 번호를 말하거나, 포켓몬의 번호를 보면 포켓몬의 이름을 말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여라. 나의 시험을 통과하면, 내가 새로 만든 도감을 주도록 하겠네.

입력

첫째 줄에는 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포켓몬의 개수 N이랑 내가 맞춰야 하는 문제의 개수 M이 주어져. N과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데, 자연수가 뭔지는 알지? 모르면 물어봐도 괜찮아. 나는 언제든지 질문에 답해줄 준비가 되어있어.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포켓몬의 번호가 1번인 포켓몬부터 N번에 해당하는 포켓몬까지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들어와. 포켓몬의 이름은 모두 영어로만 이루어져있고, 또, 음...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아참! 일부 포켓몬은 마지막 문자만 대문자일 수도 있어. 포켓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0, 최소 길이는 2야. 그 다음 줄부터 총 M개의 줄에 내가 맞춰야하는 문제가 입력으로 들어와. 입력으로 들어오는 숫자는 반드시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고,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는 반드시 도감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만 주어져.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M개의 줄에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해줬으면 좋겠어!

입력으로 숫자가 들어왔다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포켓몬의 이름을, 문자가 들어왔으면 그 포켓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면 돼. 

코드 초안

isdigit 함수와 index 함수를 사용해서 풀었다.

def solve(prob):
    if prob.isdigit(): # 입력된 문제가 숫자면
        return pok_list[int(prob)-1]    # 리스트의 인덱스에 접근
    else:              # 입력된 문제가 문자면
        return pok_list.index(prob) + 1 # 리스트에서 값의 인덱스 찾기

n, m = map(int, input().split()) # 포켓몬의 개수, 문제의 개수

# 포켓몬 리스트 생성
pok_list = []
for i in range(n):
    pok_list.append(input())
    
# 문제 해결
for i in range(m):
    print(solve(input()))

리뷰

그러나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 찾아보니 isdigit 함수의 시간복잡도는 O(n)이고, index 함수의 시간복잡도는 O(n)이라고 한다. for문을 돌며 탐색하고 n과 m은 최대 10만이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10만 * 10만 번을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다시 풀어보겠다. 

def solve(prob):
    if prob.isdigit():
        return pok_dict[int(prob)-1]
    else: # 딕셔너리 값으로 키 찾기
        idx = [key for key, val in pok_dict.items() if val == prob]
        return idx[0] + 1

n, m = map(int, input().split()) # 포켓몬의 개수, 문제의 개수

# 포켓몬 딕셔너리 생성
pok_dict = dict()
for i in range(n):
    pok_dict[i] = input()
    
# 문제 해결
for i in range(m):
    print(solve(input()))

딕셔너리의 값으로 키를 탐색했더니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 

따라서, 두 개의 딕셔너리를 만들어 문제에 따라 탐색하려고 한다.(번호 - 이름, 이름 - 번호)

def solve(prob):
    if prob.isdigit():
        return pok_num[int(prob)-1]
    else:
        return pok_name[prob] + 1

n, m = map(int, input().split()) # 포켓몬의 개수, 문제의 개수

# 포켓몬 딕셔너리 생성
pok_num = dict()
pok_name = dict()

for i in range(n):
    name = input()
    pok_num[i] = name
    pok_name[name] = i
    
# 문제 해결
for i in range(m):
    print(solve(input()))

 

먼저 숫자를 키로 하는 딕셔너리에 저장하고 이후 반전하는 코드도 써봤는데, 시간은 줄었지만 메모리는 더 차지했다.

def solve(prob):
    if prob.isdigit():
        return pok_num[int(prob)-1]
    else:
        return pok_name[prob] + 1

n, m = map(int, input().split()) # 포켓몬의 개수, 문제의 개수

# 포켓몬 딕셔너리 생성
pok_num = dict()

for i in range(n):
    pok_num[i] = input()

pok_name = {value:key for key, value in pok_num.items()}
    
# 문제 해결
for i in range(m):
    print(solve(input()))